본문 바로가기
주식 기업 분석

기업분석 AAPL | 스마트폰 생태계의 최강 포식자 애플

by 미도리샤워 2022. 1. 24.
반응형

오늘은 애플 기업분석을 해서 정리해두려고 합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매출 구조

Ⅲ. 재무제표 분석

Ⅴ. 결론

 

Ⅰ. 개요

 

기업명: 애플

티 커 명: AAPL

본사 :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시가총액: $2,652,865 (3,163 5,417억원) ( 2022년 1월 말 기준)

나스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와 시가총액 1,2위를 경쟁하고 있다.

지구에서 사는 사람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는 회사.

 

애플 역대 CEO

1대 : 마이클 스콧

2대 : 마이크 마쿨라

3대 : 존 스컬리

4대 : 마이클 스핀들러

5대 : 길 아멜리오

6대 : 스티브 잡스 (1997~2011년) --> 1 가정 1PC 도입에 매우 큰 영향력을 미쳤다.

7대: 팀 쿡(2011~ 현재까지)

--> 공장과 창고를 많이 없애고(위탁 생산을 시작) 스토어를 열어서 직접 제품을 판매해 재고 관리 회전율을 높였다. + 결제 서비스 사업 시작함.

 

Ⅱ. 매출 구조

 

(2021년 연간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이 기업은 개인 컴퓨터, 모바일 기기 제조사이다.

 

(1) 제품 :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액세서리, 웨어러블, 홈 및 액세서리 ( 워치, 티브이 포함)

-> 사실 요즘은 애플 제품을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갤럭시 폰을 가진 사람들은 내 주변에서 점점 줄어들고 있고 AAPL 제품들을 하나씩 모아가는 사람들을 꽤 많이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을 대체할 무언가가 나오지 않는 이상 쉽게 주저않을 기업은 아니라고 예상한다.

아이폰 > 웨어러블, 홈 및 액세사리 > 맥북 > 아이패드 순으로 매출이 나온다.

 

(2) 서비스 : 케어, 클라우드 서비스, 결제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 APP STORE)

-> 애플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이 AAPL의 서비스를 구독한다면 스마트폰을 바꿀 때 다시 해당 기업의 제품으로 바꿀 확률이 높다. 사람들은 기존에 쓰던 플랫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특성을 고려하면 말이다.

 

Ⅲ. 재무제표 분석

 

- 배당금

애플은 2 ,5, 8,12 월 1년에 총 4번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지급한다.

매해마다 배당금을 인상하고 있고 2021년 기준 1주당 연 배당금 수익은 0.865 달러였다.

 

- 주가

10년 동안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 때 잠깐 주가가 떨어지기도 했으나 떨어졌다는 말이 무색하게 금방 회복했다.

 

-매출

2020년 기준 매출총이익 104,956(백만 달러)

2021년 기준 매출총이익 152,836(백만 달러)

꾸준히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제품과 서비스는 매출에서 5 : 1 비율을 보여준다.

다만 제품과 서비스 매출총이익은 2:1 비율이다.

전자기기보다 Service를 제공하는 것이 마진이 더 잘 남는다.

 

Ⅴ. 결론

 

스마트폰의 배터리 수명이 길어지고 새로 나온 제품들과 예전의 제품들의 기능 차이가 적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쓰던 아이폰을 계속 사용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는 점이 AAPL에서 고려해야 할 점이다. 

AAPL은 중국, 인도에서 가장 매출이 잘 나온다. 현재 중국에서 애플 폰의 점유율은 1위이다.(2022년 1월 기준) 중국시장이 매우 큰 만큼 미중 무역 전쟁과 중국 경기 침체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원활한 중국 사업을 위해 팀 쿡이 많이 신경 쓰고 있다. (2016년 약 323조 원 규모의 투자 계약을 중국 사업을 위해 체결함.- 관리들과 중국 경제, 기술 개발에 투자하기로 약속함. 계약 기간은 5년)

현재 나는 이 회사의 주식을 아주 소액 보유하고 있다. 분명 안정적이고 매력적인 종목은 맞지만 보수적으로 투자할 생각이다. 애플 카의 자율주행 기술과 VR 출시 등 사업 다각화에 힘쓰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제품 판매의 비중이 높아서 두고 볼 예정이다.

반응형

댓글